로스터리 카페를 꿈꾸며 구매한 보카보카500 로스팅기로 첫 로스팅을 했습니다. ㅇ
오래전부터 250g의 통돌이 로스팅을 해왔기에 기본적인 지식은 있지만, 다른 로스팅기를 사용하려니 부담이 많이 갑니다.
생두는 " 소펙스코리아" 에서 구매를 했습니다.
생두에 결점두가 적어서 마음에 듭니다.
보카보카500은 상품명에서 알수 있듯이 500g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고루고루 열이 전달되려면 400g 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도 400g을 준비합니다. 사진에 보시다시피 결점두가 저정도면 괜찮은것 아닌가요?
현재상태로는 보카보카의 성능을 몰라서 임의대로 저의 느낌대로 볶을수 밖에 없겠습니다.
중고로 구매한 저의 보카보카 500인데 지하에 있어서 환풍에 문제가 있을줄 알았습니다. 뭐..구조적인 문제는 제껴두고 혹시 몰라서 공기청정기도 옆에 두고 사용했네요. 저의 폐는 소중하니까요
예열하는 장면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로스팅 프로파일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것은 저의 감으로 작업된 첫 로스팅입니다.
Lv9 : 200도까지 예열
생두 400g 투입
Lv8
00:00 투입후 온도 175도
00:30 110도
02:00 터닝포인트 105도
03:00 118도
04:00 125도
05:00 135도
Lv9 : 온도가 너무 천천히 올라가서 온도를 올림
06:00 150도
07:00 165도
08:00 175도
09:00 190도
10:00 200도 - 1차 팝시작
10:30 Lv6으로 낮춤
11:00 205도
12:00 207도 1차팝 소리가 끝남
Lv8 : 2차 팝 유도를 위해 온도 올림
13:00 배출
400g 생두에서 원두는 337g
보카보카는 원적외선 열선때문에 원두의 색으로 확인이 힘들다. 그래서 원두의 소리와 온도에 의지에서 로스팅을 했는데 꽤 괜찮게 로스팅이 된것 같다. 물론 나중에 커피를 내려 봐야 알겠지만
이렇게 원두를 보관용기에 넣고 가스가 빠지면 마셔볼 생각이다. 향미는 아~~주 좋다. 기분이 좋아지는 커피향이다.
다른 생두도 2개가 남아 있는데 어떻게 볶을지 기대반 걱정반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이틀후 드립
고보를 이용해서 20g의 원두에 200g의 물을 부어서 3분안에 150g 추출
온수 150g을 넣어서 300g의 맛으로 확인
신맛이 올라온다.오렌지의 신맛이라고 표현해야하나? 1:1로 희석했지만 적당한 바디감이 괜찮다.
천천히 식을 수록 단맛이 올라온다.
원두의 색으로 봐서는 시티정도의 중강배전인데 신맛이 있다.
내가 아는 케냐의 맛과는 차이가 잇다. 조금더 볶아야 할까?
ps : 이렇게 볶으면 안 될것 같습니다. 덟은 맛이 올라오는게 아마도 속까지 익지 않은 것 같습니다.
초반에 열량을 더 줘야 합니다.
'보카보카500 로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카보카500으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만델링 로스팅하기 (0) | 2020.06.26 |
---|---|
커피원두에서 떫은맛을 잡는 방법 (0) | 2020.06.19 |
과테말라 제뉴인 안티구아 파스토랄 SHB EP 재로스팅 (0) | 2020.06.18 |
과테말라 제뉴인 안티구아 파스트랄 SHB EP 로스팅 프로파일 (0) | 2020.06.12 |
에티오피아 시다몬 G2 워시드 로스팅프로파일 (0) | 2020.06.11 |